[전문가] 캘리포니아에서 역사적인 AI 컴패니언 챗봇 규제법이 통과됐습니다. 개빈 뉴섬 주지사가 서명한 이 법안은 2026년 1월부터 AI 챗봇 운영사들에게 연령 확인, 자해·자살 예방 프로토콜, 미성년자 대상 성적 콘텐츠 차단 등 안전 장치 의무화를 요구합니다.
[진행자] 왜 갑자기 이런 규제가 등장한 건가요?
[전문가] 실제 사고 사례들이 쌓였기 때문입니다. 청소년들이 ChatGPT와 자살 계획을 논의한 끝에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 메타 챗봇이 미성년자와 성적 대화를 나눈 내부 문서 유출, Character AI와 문제있는 대화 후 13세 소녀가 자살한 소송 등이 직접적인 계기가 됐습니다.
[진행자] 이 법안이 주요 AI 기업들에 미치는 영향은 어떨까요?
[전문가] 1차적으로 직접 영향을 받는 기업들은 메타(META), 오픈AI, Character AI, Replika 등입니다. 이들 기업은 기술 개편과 안전 장치 도입에 상당한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특히 메타의 경우 주가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데, 이미 소셜미디어 규제에 민감하게 반응해왔기 때문입니다.
[진행자] 2차적으로 영향을 받을 기업들은요?
[전문가] 사이버 보안 기업들인 CrowdStrike(CRWD), Palo Alto Networks(PANW)의 수요가 증가할 전망입니다. 연령 확인 시스템과 콘텐츠 필터링 솔루션에 대한 투자가 활발해질 테니까요. 또한 아마존(AMZN)의 AWS, 마이크로소프트(MSFT)의 Azure 같은 클라우드 플랫폼들도 AI 안전성 관련 서비스를 강화해야 하는 압력을 받게 됩니다.
[진행자] 국내 주식 시장에서는 어떤 기업들이 주목받을까요?
[전문가] AI 콘텐츠 필터링 기술을 보유한 케이사인(192440), 안랩(053800) 같은 국내 보안 기업들이 관심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AI 챗봇 개발사인 스코이(276040), AI 플랫폼을 갖춘 네이버(035420), 카카오(035720)도 규제 대응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진행자] 가상화폐 시장과의 연관성은요?
[전문가] AI와 블록체인을 결합한 프로젝트들의 토큰들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The Graph(GRT), Ocean Protocol(OCEAN) 같은 AI 데이터 관련 토큰들과, 연령 확인을 위한 디지털 신원 인증 솔루션을 제공하는 SelfKey(KEY) 같은 프로젝트들이 주목받을 여지가 있습니다.
[진행자] 결국 이 규제는 글로벌 AI 산업의 전환점이 될 것 같네요.
[전문가] 맞습니다. 캘리포니아의 선제적 규제는 다른 주들과 국가들로 빠르게 확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AI 기업들은 이제 기술 발전과 사회적 책임 사이에서 균형을 찾아야 하는 시대가 왔음을 인식해야 합니다. 단기적으로는 규제 적응 비용이 부담되지만, 장기적으로는 건전한 AI 생태계 조성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원본 기사 링크: https://techcrunch.com/2025/10/13/california-becomes-first-state-to-regulate-ai-companion-chatbo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