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시대, 새로운 기기 탄생의 어려움! 조니 아이브와 OpenAI의 도전##
진행자: 안녕하세요, IT 트렌드를 발 빠르게 전해드리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특히 우리의 미래를 바꿀지도 모를 AI 기기 개발에 대한 흥미로운 소식을 가져왔습니다. 애플의 전설적인 디자이너 조니 아이브와 인공지능 선두 주자 OpenAI가 함께 선보일 것으로 기대되었던, 화면 없는 AI 기기 개발에 예상치 못한 난관에 부딪혔다는 소식인데요. 과연 어떤 이야기인지, IT 전문가 모시고 자세히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전문가님, 안녕하세요.
전문가: 안녕하세요. 오늘 여러분과 나눌 흥미로운 이야기에 설레는 마음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
진행자: 전문가님, 먼저 상황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OpenAI가 조니 아이브의 스타트업 io를 인수하면서 큰 화제가 되었죠?
전문가: 네, 맞습니다. 작년 5월, OpenAI는 무려 65억 달러라는 천문학적인 금액으로 조니 아이브가 설립한 io를 인수했습니다. OpenAI의 CEO인 샘 알트먼은 당시 조니 아이브와 그의 팀이 AI 기반의 차세대 컴퓨터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큰 기대를 나타냈었죠.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2026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진행자: 그럼 그 기대가 이제는 좀 주춤하고 있다는 건가요?
전문가: 네, 파이낸셜 타임즈의 보도를 보면, OpenAI와 조니 아이브 팀이 개발하려는 기기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는데, 이게 생각보다 쉽지 않은 과제인 것 같습니다. 목표는 화면 없이 손바닥 안에 들어오는 작은 기기를 만드는 건데요. 주변 환경의 소리와 시각적인 정보를 받아들이고,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는 것이죠. 하지만 이 기기의 ‘성격’을 어떻게 설정할지, 개인 정보 보호 문제를 어떻게 다룰지,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컴퓨팅 인프라 구축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어서 출시 일정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입니다.
진행자: 화면 없이 모든 걸 처리해야 한다니, 기술적으로 정말 어려운 일이겠네요. 구체적으로 어떤 어려움이 있나요?
전문가: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사용자의 명확한 지시 없이도 기기가 능동적으로 작동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항상 사용자의 말을 듣고 있다가 적절한 타이밍에 유용하게 말을 걸어주고, 대화를 적절히 마무리하는 기능이 필요한데요. 그런데 이 ‘항상 켜져 있는’ 상태에서 언제, 어떻게, 왜 말을 걸어야 할지, 그리고 언제 대화를 끝내야 할지에 대한 기준을 잡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마치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소통하는 AI를 만드는 것이 핵심인데, 이 부분이 기술적으로 매우 까다로운 부분이죠.
진행자: 마치 인간처럼 말이죠. 정말 흥미로우면서도 어려운 도전이네요. 이러한 상황에서 관련 회사들의 주식은 어떤 흐름을 보이고 있나요?
전문가: OpenAI는 비상장 회사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주식 거래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OpenAI의 핵심 파트너이자 이번 프로젝트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MSFT)의 주가는 AI 기술 발전에 대한 시장의 기대로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MSFT는 OpenAI의 주요 투자자이기도 하죠.
그리고 이번 프로젝트의 주인공인 조니 아이브와 관련된 애플(AAPL)도 AI 기술 경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애플 주가 역시 AI 모멘텀에 힘입어 강세를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이번 OpenAI와 조니 아이브의 AI 기기 개발 지연 소식은 단기적으로는 이러한 기대감에 일부 영향을 줄 수도 있겠지만, 장기적인 AI 기술 발전이라는 큰 흐름 속에서는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진행자: 그럼 직접적으로는 아니지만, 2차로 연결되어 있는 회사들에 대한 소개와 전망도 궁금합니다.
전문가: 이 프로젝트는 단순히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넘어, AI 모델, 센싱 기술, 클라우드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AI 모델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엔비디아(NVDA)는 AI 칩 시장을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어, AI 발전의 최대 수혜주로 꼽힙니다. AI 기기 개발이 활발해질수록 엔비디아의 GPU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기기에 탑재될 고성능 센서나 부품을 공급할 수 있는 퀄컴(QCOM) 같은 반도체 기업이나, AI 모델을 구동할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아마존(AMZN), 구글(GOOGL) 등도 간접적인 수혜를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이들 기업 역시 AI 기술 발전에 발맞춰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진행자: 주식 외에 관련 가상화폐도 있을까요?
전문가: AI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가상화폐는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주목받고 있는 분야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페치AI(FET)는 탈중앙화된 AI 플랫폼을 구축하려는 프로젝트로, AI 모델의 학습과 실행을 분산 네트워크에서 처리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싱귤래리티넷(AGIX)도 AI 생태계를 구축하고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가상화폐들은 AI 기술의 상용화와 함께 잠재적인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가상화폐는 변동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투자 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진행자: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군요. 그렇다면 이와 관련하여 국내외 테마 주식으로는 어떤 것들을 주목해볼 만할까요?
전문가: 국내에서는 AI 반도체 설계 및 제조와 관련된 기업들, 예를 들어 삼성전자(005930), SK하이닉스(000660)와 같은 대형 반도체 기업들이 AI 기술 발전에 따라 꾸준히 주목받고 있습니다. 또한, AI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AI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도 좋은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해외에서는 앞서 언급한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구글 등이 대표적인 AI 테마 주식이며, AI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자율주행, 로보틱스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는 기업들도 눈여겨볼 만합니다. 특히, AI가 우리의 일상생활에 더 깊숙이 들어오면서, AI 기반의 새로운 서비스나 제품을 선보이는 스타트업들에 대한 투자도 활발해질 수 있습니다.
진행자: 오늘 전문가님 덕분에 AI 기기 개발의 어려움부터 관련 산업의 주식, 가상화폐, 그리고 테마 주식까지 폭넓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조니 아이브와 OpenAI의 행보가 더욱 기대됩니다. 오늘 귀한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전문가: 저도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원본 기사 링크: https://techcrunch.com/2025/10/05/openai-and-jony-ive-may-be-struggling-to-figure-out-their-ai-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