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iwinv 서버에 워드프레스 자동설치하기

**’도메인 구입부터 워드프레스(WordPress) 설치, 그리고 SSL 적용까지’**의 과정을 안내할까합니다.

LiteSpeed 웹 서버를 이용한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워드프레스 구축 방법을 순서대로 따라와 보세요!


🚀 1. 사이트 구축의 첫걸음: 도메인과 서버 준비

성공적인 워드프레스 사이트 구축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준비 단계입니다.

1. 도메인 구입 및 네임서버 변경

hosting.kr과 같은 도메인 등록 업체에서 도메인을 구입하셨다면, 이제 서버의 위치를 알려주는 **네임서버(Name Server)**를 변경해야 합니다.

  • 도메인 구입: hosting.kr 등 원하는 곳에서 **yourdomain.com**을 구입합니다.
  • 네임서버 변경: 구입처의 도메인 관리 메뉴에서 네임서버를 서버 호스팅 업체인 iwinv의 네임서버로 변경해 주세요.
    • 네임서버 주소: ns1.iwinv.kr, ns2.iwinv.kr

2. DNS 설정: A 레코드 추가

네임서버를 변경했다면, 이제 도메인 주소와 서버의 실제 IP 주소를 연결해 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 iwinv 콘솔 접속: iwinv 콘솔(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A 레코드 추가: DNS 설정 메뉴에서 A 레코드를 추가하고, 도메인 주소에 해당하는 값으로 여러분의 서버 IP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예: 115.68.179.109)

💡 확인하기: DNS 전파 확인

설정이 전 세계 DNS 서버에 잘 퍼졌는지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https://whatsmydns.me/**와 같은 사이트에서 여러분의 도메인을 검색해 보는 것입니다.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여러분의 서버 IP가 정확하게 나타나면 성공입니다!


🛠️ 2. 서버 환경 구축: Ubuntu 설치 및 방화벽 설정

본격적으로 워드프레스를 올릴 서버 환경을 준비합니다.

1. iwinv 운영체제(OS) 설치 및 접속

iwinv 콘솔에서 Ubuntu 24와 같은 원하는 리눅스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메일로 받은 서버 정보를 확인합니다.

  • 서버 접속: PowerShell 또는 터미널을 열고 SSH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합니다.
$ ssh root@<서버아이피>
  • 비밀번호 변경: 보안을 위해 접속 후 바로 관리자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 passwd
  • 서버 업데이트: 최신 보안 패치와 시스템 안정성을 위해 패키지를 업데이트합니다.
  • 키 재설정 (선택): 만약 서버를 재설치했다면, 로컬 PC에서 이전에 저장된 키 정보를 삭제하고 다시 접속해야 할 수 있습니다. (PowerShell/터미널에서 실행)
$ ssh-keygen -R <서버아이>
  • ssh-keygen -R <서버아이피>

2. ELCAP 방화벽 설정

사이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방화벽(Firewall)**을 열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iwinv 콘솔 접속: ELCAP 방화벽 설정 메뉴로 이동합니다.
  • 인바운드(Inbound) 규칙 수정: 서버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허용하는 규칙을 추가합니다.
    • 7080 포트: LiteSpeed 서버 관리자 페이지 접속 포트
    • 443 포트: SSL/HTTPS 접속 포트
    • UDP: 일반적으로 특정 서비스나 DNS 관련하여 필요할 수 있습니다.

⚙️ 3. 워드프레스 자동 설치 및 SSL 적용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워드프레스 설치 스크립트와 보안을 위한 SSL 인증서 설치 단계입니다.

1. ols1clk.sh 설치

OpenLiteSpeed(OLS)의 원클릭 설치 스크립트를 다운로드하고 실행 권한을 부여합니다.

cd ~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litespeedtech/ols1clk/master/ols1clk.sh
chmod +x ols1clk.sh

Bash

cd ~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litespeedtech/ols1clk/master/ols1clk.sh
chmod +x ols1clk.sh

2. 워드프레스 자동 설치 (One-Click)

다운로드한 스크립트를 실행하면서, 이전에 설명드렸던 모든 워드프레스, OLS,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한 번에 입력해 줍니다.

sudo bash ols1clk.sh \
  --wordpressplus yourdomain.com \
  --wpuser 워드프레스사용자아이디 \
  --wppassword 워드프레스사용자비번 \
  --wplang ko_KR \
  --lsphp 83 \
  --dbname 데이터베이스이름 \
  --dbuser 데이터베이스사용자아이디 \
  --dbpassword 데이터베이스비밀번호 \
  -A OLS관리자비밀번호 \
  -E OLS관리자이메일 \
  -R 데이터베이스관리자비밀번호

Bash

sudo bash ols1clk.sh \
  --wordpressplus yourdomain.com \
  --wpuser 워드프레스사용자아이디 \
  --wppassword 워드프레스사용자비번 \
  --wplang ko_KR \
  --lsphp 83 \
  --dbname 데이터베이스이름 \
  --dbuser 데이터베이스사용자아이디 \
  --dbpassword 데이터베이스비밀번호 \
  -A OLS관리자비밀번호 \
  -E OLS관리자이메일 \
  -R 데이터베이스관리자비밀번호

⭐ 핵심: 위의 <워드프레스사용자아이디> 등의 정보를 여러분이 원하는 정보로 바꿔서 정확하게 입력하셔야 합니다. 특히 비밀번호는 반드시 안전하게 설정해 주세요!

3. Let’s Encrypt SSL 인증서 설치

보안을 위해 사이트 주소 앞에 **https://**를 붙여주는 SSL 인증서를 무료로 발급받습니다.

  1. Certbot 설치: SSL 발급 및 갱신을 자동화해주는 도구를 설치합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certbot
  1. 인증서 발급: 웹루트(-w) 경로를 지정하여 인증서를 발급받습니다.
sudo certbot certonly --webroot -w /usr/local/lsws/Example/html -d yourdomain.com 

주의: yourdomain.com은 실제 여러분의 도메인 주소로 변경해야 합니다.

4. OLS 관리자 페이지에서 SSL 적용

마지막 단계입니다. LiteSpeed 웹 서버가 방금 발급받은 SSL 인증서를 사용하도록 설정해 줍니다.

  1. 관리자 페이지 접속: 브라우저에서 서버 IP와 OLS 관리 포트로 접속합니다.
    • 접속 주소: http://<서버아이피>:7080 (예: http://115.68.179.109:7080)
  2. SSL 설정 변경: 로그인 후, 좌측 메뉴의 [Listeners] 메뉴 [wordpressssl] **[SSL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3. 파일 경로 교체: 아래 두 항목의 경로를 Certbot이 발급한 인증서 경로로 변경합니다.
    • CertFile (인증서): /etc/letsencrypt/live/yourdomain.com/fullchain.pem
    • KeyFile (개인 키): /etc/letsencrypt/live/yourdomain.com/privkey.pem
    • (yourdomain.com을 여러분의 도메인으로 변경해 주세요!)

모든 설정을 마치셨다면, 서버를 재시작하고 https://yourdomain.com으로 접속해 보세요! 안전하고 빠른 워드프레스 사이트가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을 것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